상품명 | FRÜHLING 다시, 봄 |
---|---|
Artist | 프로젝트 |
Description | 쿤스트카비넷 (Kunst Kabinett).
'kunst'는 예술, 'kabinett'은 공간을 뜻하는 독일어입니다.
예술품들을 모아놓은 개인의 작은 수집 공간은 갤러리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.
'봄'은 겨우내 땅 밑에 갇혀 살던 만물이 대지로 나와 세상을 '다시 본다'하여 봄으로 불리었다고 합니다. [Frühling 다시, 봄]은 다가가기 어려운 벽 너머의 예술을 내 공간으로 불러들여 '다시 봄'을 제안하는 전시입니다.
전시장 내에는 개인의 취향대로 꾸며볼 수 있는 공간 '쿤스트카비넷'이 마련되어 있으며, 이 공간의 벽은 특별히 못질이 허용됩니다. 내 집에서도 조심스러웠던 망치질을 맘 편히 하며 그림을 걸다 보면 높기만 했던 예술의 장벽도 조금씩 낮아지고 있을 것입니다.
바라보는 것을 넘어 직접 만지고, 고르는 경험은 낯선 예술품들을 내 것으로서 다시 살펴보게 합니다. 옷을 사기 전 피팅을 해 보는 것처럼, '쿤스트카비넷'에서의 '아트피팅'을 통해 관객은 생소하기만 했던 그림 구입을 가깝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.
생명과 긍정의 에너지가 가득한 작품들로 채워진 [Frühling 다시, 봄]의 전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'쿤스트카비넷'을 이용하길 제안해 봅니다.
[봄]. 전시장의 그림들을 감상해봅니다.
[Frühling, 다시 봄]을 찾는 관객들이 봄을 뜻하는 독일어 ‘프릴링’을 발음할 때 느껴지는 운율처럼 경쾌하고 즐거운 관람의 경험으로 기억되길 바라'봄'.
17717, 서울 성북구 성북동 177-17, B1 전시 일시 1부. 2023. 3.24(금) – 4.2(일), 11~19시 2부. 2023. 4.7(금) – 4.16(일), 14~21시 작가 1부 : 김연수, 김은율, 김이수, 김푸른, 마담롤리나 박세은, 손미정, 송하영, 임성희, 키미 2부 : 김세연, 김아름, 박성아, 희다, 이채린 아바, 오시영, 임호경, 장한이, 정주하 주최/기획
쿤스트카비넷
포스터 디자인
Graphic 17717
|
Link | 자체제작 |